Study for Commerce and Students

연구결과개요

<연구결과개요>

 

【필요성】

스마트 기기 사용자의 증가 및 활용정책 필요

진학 및 취업 면접의 비중 확대 및 다변화

교사의 학생 면접 지도의 어려움 발생

【요구분석】

기업체의 면접 사례 및 대학 진학 면접 사례 수집

면접 사례를 바탕으로 모범/예상 답변을 DB화

▼▼

【목적】

모바일 웹 (Moble Web) 기반의 진학 취업 문제은행 사이트를 구축·운영하여 선취업 – 후진학의 특성화고 학교정책 모델 제공

▼▼▼

【활용】

스마트 기기를 통해 손쉽게 접근 가능한 취업/진로 면접 지도

학교 수업 및 방과 후에도 활용가능한 취업/진로 면접 활용

교사-학생 및 학생-학생간 상호작용 가능한 모바일 웹 생태 조성

휴대폰, 패드 등 스마트 기기의 발전에 따라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교사 및 학생의 수가 급증하는 바에 착안하여 스마트 기기에서 모바일 웹(Mobile Web)으로 쉽게 접근 가능한 취업면접 지원 사이트를 개발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일선 현장에서 취업 면접 지도를 하는 특성화고 교사에게 편의성, 교육의 집중화, 경험의 공유를 극대화하는 교사 지원 모델의 개발 및 운영을 이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디지털 정보화 시대에 알맞은 특성화고 학교 정책에도 부합되고, 학생-교사간의 인터렉티브한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방향으로 실제 기업체 면접 문항을 수집하고, 대학 진학 및 기업체 면접에 대한 교사의 노하우 공유하여 모바일웹 사이트 구축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이를 특성화고 각 교과 수업에 취업/진로 면접 기법 적용하여 도입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모바일 웹 교육으로 교사 및 학생 모두 취업 진로 면접 교육 접근성이 수월해졌으며, 특히 학생들에게 친숙한 스마트기기를 사용함으로서 게임이나 SNS 중심의 스마트기기 활용에서 교육을 위한 스마트기기의 활용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특성화 고등학교의 특성상 취업을 희망 학생들에게 각 교과 선생님의 면접 지도 자료를 제공하여 취업 활성화를 지원하여 선취업 후진학의 특성화고 교육정책에 부합되었다.

 

<연구결과활용방안>

2014학년도 연구에 참여하는 10명의 전문교과 교사의 지도 경험을 데이터화하여 취업 진로 면접 문항을 모바일 웹에 등록하여 시범 운영을 하고, 2015학년도에 본격적으로 학교 전체 상업정보, 정보컴퓨터, 디자인 등 모든 전문교과 교사가 참여 및 운영할 수 있도록 개방하여 학교 단위의 전문교과 취업 면접 지도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이 정책연구의 결과로, 선취업 후진학을 하고자 하는 학생들과 이를 지도하는 교사들이

1. 개별 교사의 취업 지도 및 면접 경험을 공유함으로서 교사 학생간 1:1 면접 지도에서 공동 면접 지도가 가능한 1:다 면접지도 시스템으로 전환될 수 있다.

2. 모바일 웹에 교사의 오랜 면접지도경험, 기업체의 실제면접문제 또는 면접예상문제 및 그 모범사례를 게시함으로서 시간과 공간에 제한없이 24시간 365일 학생들의 교육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3. 수업 뿐 아니라 방과후 수업, 그리고 수업 종료후에도 언제든지 학생들이 원하면 취업 면접 모바일 웹에 접속할 수 있어 상시적인 면접 지도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4. 학생들이 모바일웹 QNA 게시판 등을 통해 서로 묻고 답하는 자기주도학습으로 발전하는 교육 활용이 예상된다.

5. 스마트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취업/진학 면접 사이트에 접근이 용이하여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촉진하는 긍정적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찾아보기

© 2014 All rights reserved.